지적도 무료열람 바로가기

 이제는 ‘지적도 무료열람 서비스’를 통해 온라인에서도 손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.







요즘 부동산 공부를 하거나 내 땅의 경계를 확인할 일이 많죠. 예전에는 시청이나 구청을 직접 방문해야 했지만, 오늘은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과 주의사항까지 정리해드릴게요.



📍 지적도란 무엇인가요?

‘지적도’는 한마디로 토지의 경계와 구획을 지도 형태로 표시한 공적 도면입니다.
부동산 거래, 건축허가, 경계분쟁 등 여러 행정절차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이죠.
지적도에는 지번, 지목, 경계선, 도로 위치 등이 상세히 표시되어 있어 토지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
💻 지적도 무료열람 사이트 ① – 정부24

가장 많이 이용되는 곳은 바로 정부24(www.gov.kr) 입니다.
이곳에서는 ‘지적도 열람’ 서비스를 통해 본인 또는 타인의 토지를 무료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.

이용방법

  1. 정부24 접속 → 검색창에 “지적도 열람” 입력

  2. “지적도(임야도) 열람서비스” 선택

  3. 시·군·구 및 지번 입력 후 ‘조회하기’ 클릭

  4. 화면에 표시되는 지적도 확인 후, 필요 시 PDF로 저장 가능

💡 Tip: 인쇄를 원할 경우에는 ‘지적도 열람’이 아닌 ‘지적도 등본 발급’을 선택해야 합니다. 단, 등본 발급은 700원 수수료가 발생합니다.


🗾 지적도 무료열람 사이트 ② – 국토교통부 ‘LX 공간정보플랫폼’

또 다른 유용한 사이트는 국토지리정보원(LX) 공간정보플랫폼입니다.
주소: https://map.ngii.go.kr

이곳은 단순한 지적도 열람을 넘어 위성지도, 항공사진, 건축물대장 등 다양한 정보를 함께 볼 수 있습니다.
토지경계를 실제 지도 위에 겹쳐 볼 수 있어서 부동산 개발, 농지 경계 확인, 공사 전 토지확인 등에 유용합니다.


📋 지적도 열람 시 알아둘 점

  1. 무료열람은 ‘참고용’입니다.

    • 법적 효력이 없으며, 소송이나 계약용으로 사용하려면 반드시 ‘공인발급본’을 이용해야 합니다.

  2. 경계가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.

    • 오래된 지적도는 측량 시점이 달라 오차가 있을 수 있으니, 중요한 사안이라면 한국국토정보공사(LX)에 경계측량을 의뢰하는 것이 좋습니다.

  3. 임야의 경우 ‘임야도’로 조회해야 합니다.

    • 지목이 ‘임야’인 토지는 별도의 임야도 서비스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

🧾 모바일에서도 가능한가요?

네! 최근에는 스마트폰에서도 정부24 앱이나 국토정보플랫폼 모바일 사이트를 통해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.
지번만 알고 있으면 누구든지 24시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죠.
특히 현장에서 토지 위치를 바로 확인해야 하는 공인중개사, 건축업자, 농지소유자들에게 매우 유용합니다.


💬 마무리

지적도는 내 땅을 정확히 알고 지키는 첫걸음입니다.
무료열람 서비스 덕분에 이제는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않아도 내 토지의 경계, 면적, 주변 도로까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죠.
단, 참고용과 법적용의 차이만 명확히 알고 활용하면 불필요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.


요약

  • 정부24 또는 LX 공간정보플랫폼에서 무료열람 가능

  • 법적 효력은 없으며 참고용

  • 경계분쟁, 건축허가용은 반드시 ‘공인발급본’ 필요

댓글